한국에서도 마법공식은 통하는가?
그렇다. 하지만 최근에는 무척이나 낮은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마법공식을 다소 개선한 버전을 사용하기를 추천한다.
많은 사람들이 마법공식 원론을 변형해서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강환국 작가님이 만든 "PBR+GP/A+시가총액 하위 20%" 조합의 퀀트가 있다.
나는 "PBR+EV/EBITDA+GP/A+시가총액 하위 25%" 를 추천하고 싶다.
그렇다면 새로운 한국형 마법공식의 성과는?
2007년 1월 부터 2022년 6월 14일까지 투자했다고 가정하면 연복리로 약 50%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1000만원을 투자했다면, 5,230,494,392원이 되어 있었을 것이다. 520배 이상의 수익이다.
다만 MDD는 51.88%로 매우 크다.
이는 거의 모든 가치 퀀트가 가지는 특징으로 장이 안 좋을 때는 반토막을 각오해야 한다.
과거에만 통한거 아닌가?
그럴 수 있다.
나는 2017년부터 이 방법을 바탕으로 투자를 했고,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시장은 언제든 변할 수 있다.
아쉽지만 앞으로 미래는 누구도 알 수 없다. 투자라는 것은 원래 불확실한 것이며 리스크를 짊어지는 행위이다.
그렇기에 투자를 통해서 돈을 벌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불확실한 것이 싫다면 투자 대신 은행 이자를 받는 것이 좋다.
새로운 마법공식의 정확한 투자 방법은?
1. 시가총액 하위 25% 이하 종목을 추린다.
2. PBR 이 낮은 순으로 순위를 메긴다.(PBR이 낮을 수록 1등에 가까워진다.)
3. EV/EBITDA 가 낮은 순으로 순위를 메긴다.(EV/EBITDA가 낮을 수록 1등에 가까워진다.)
4. GP/A 가 높은 순으로 순위를 메긴다.(GP/A가 높을 수록 1등에 가까워진다.)
5. 이를 모두 더한다. 그리고 다시 순위를 메긴다.
6. 순위가 높은 종목 12 ~ 20개를 매수한다. 그리고 2개월 정도를 보유한다.
7. 2개월 후 매도한다. 그리고 1~6을 반복해 새롭게 종목을 매수한다.
8. 이를 계속 반복한다.
덧붙여
1. PBR+EV/EBITDA의 조합은 기본적으로 매우 강하다. 거의 모든 나라에서 잘 먹히는 조합이다.
2. 소형주 효과는 매우 탁월하다. 역시 거의 모든 나라에서 소형주 효과가 존재한다.
삼성전자를 사지 말아야 하는 이유
삼성전자는 투자할만 한가? 삼성전자는 복리로 연간 약 16% 씩 올랐다. 정말 대단하다. 오랜기간 삼성전자 주식을 사모았다면 지금은 돈 걱정이 없을 것이다. 높은 수익률에 더불어 배당도 꾸준
miridabag.tistory.com
3. 마법공식의 모든 종목이 오르지 않는다. (참조: 퀀트 투자와 평균)
퀀트투자의 수익률은 일정하지 않다.
유감스럽게도 퀀트투자의 수익률은 해마다 일정하지 않다. 절대 절대로 일정하게 수익을 내주지 않는다. 20% -> 20% ->20% 이렇게 수익을 내준다면 너무나 행복하겠지만, 시장은 호락호락하지 않다.
miridabag.tistory.com
4. 3년 이상 한다고 마음 먹어라. 3년 이상 하지 않을 것이라면 하지 마라.
5. 투자를 하는 와중에도 끝없이 공부하라. 전략을 점검 및 수정 보완하라.
'투자 > 투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억 실투자 수익률 및 수익금 내역(2022.7.25~2022.8.08) (2) | 2022.08.08 |
---|---|
주식 용어 - 퀀트의 기본인 PER, PBR, EPS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7.21 |
주식 공모주(IPO)투자와 청약 방법 (0) | 2022.06.11 |
주식으로 돈 벌기 - 추세추종(모멘텀 투자) (0) | 2022.06.09 |
한국에서의 마법공식 실제 투자 후기 (0) | 2022.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