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으로 제3급 법정감염병입니다.
감염되면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무서운 병이지요.
그러니 예방이 최고겠지요.
쯔쯔가무시증 예방법 같이 알아보아요
‘쯔쯔가무시증’ 매개 털진드기의 유충은 왕성히 활동하는 시기인 9월부터 11월까지 개체 수가 증가하고, ‘쯔쯔가무시증’ 환자도 약 70% 이상이 10월과 11월에 집중 발생합니다.
털진드기 유충에 물리면 1~3주(잠복기) 이내 고열, 오한, 근육통, 발진 등의 증상과 물린 부위에 가피(검은 딱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쯔쯔가무시증’은 감염 초기에 적절한 항생제 치료 시 완치가 가능하여, 무엇보다 신속한 진단과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야외활동 후 1~3주 이내 발열, 발진, 오한 등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진드기 물림이나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필요시 적시에 치료받아야 합니다.
<‘쯔쯔가무시증’ 예방수칙>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전
- 작업복과 일상복 구분하여 입기
- 진드기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장* 갖춰입기
* 밝은 색 긴소매 옷, 모자, 목수건, 양말, 장갑 등
- 농작업 시에는 소매를 단단히 여미고 바지는 양말 안으로 집어넣기
-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중
- 풀밭에 앉을 때 돗자리 사용하기
- 풀숲에 옷 벗어놓지 않기,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등산로를 벗어난 산길 다니지 않기
- 기피제의 효능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하기
▲ 농작업 또는 야외활동 후
- 귀가 즉시 옷은 털어 세탁하기
- 샤워하면서 몸에 벌레 물린 상처(검은 딱지 등) 또는 진드기가 붙어있는지 확인하기
- 의심 증상 발생 즉시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자료=질병관리청>
'생활의 발견 > 정보 마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영업자·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지원 총정리 (0) | 2022.11.13 |
---|---|
‘아프면 쉴 권리’ 상병수당, 집중 신청 기간 운영 (0) | 2022.11.03 |
재수생인데 코로나 확진됐다면 어디로 연락해야 하나요? (0) | 2022.11.02 |
업무용 메일 쓸 때 알아두면 좋은 꿀팁! (0) | 2022.11.02 |
나도 받을 수 있는 임대료 - 주거 급여 알아보기 (0) | 2022.10.30 |
댓글